🏯 연일 정씨(迎日 鄭氏)의 시작과 시조

연일 정씨의 시조는 **신라 태종 무열왕 때 활약한 정종은(鄭宗殷)**입니다. 그는 간의대부(諫議大夫)로 재임했고, 이에 후손 정용경(鄭宜卿)이 영일호장이 되어 영일현백으로 봉해지며 본관이 ‘영일’로 굳어졌습니다
🔹 초기 인물:
- 정종은: 신라의 고위 관료이자 삼한 통일에 공헌
- 정용경: 영일호장, 영일현백으로 봉해져 지역적 기반 형성
🌳 본관과 명칭: ‘영일’, ‘연일’, ‘오천’
‘영일’은 현재 포항시 연일읍 인근이며, 한때 ‘오천’이라 불렸습니다. 따라서 본관을 ‘영일정씨’ 또는 ‘오천정씨’라 병기하기도 합니다
🌿 가계의 두 중시조와 주요 분파
연일 정씨는 다음 두 계파를 중심으로 종가 체계를 이룹니다 blog.naver.com:
- 지주사공파 (知奏事公派): 고려 인종 때 정습명(鄭襲明)을 중심으로, 정몽주·정문예 등의 후손이 이어짐.
- 감무공파 (監務公派): 정극유(鄭克儒)를 시조로 삼아, 정사도·정철 등 조선 시대 유력 인물 배출.
🎓 역사 속 주요 인물
- 정몽주(鄭夢周): 고려 말의 충신이자 성리학자. ‘포은’이라는 아호로 널리 알려짐
- 정철(鄭澈): 조선 선조 시대의 문신·가사문학가. 감무공파 대표 인물 중 하나
📜 족보와 문중의 역사 기록
- 족보는 고려 인종 때 정습명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, 정극유를 중심으로 한 계보도 전승됨 .
- 가장 오래된 족보는 1647년, 이후 1921년·1994년 등 여러 차례 판본이 발간되어 현전 중
🪦 정몽주 묘소

위치와 지정
- 소재지: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 45, 산3번지
- 지정: 경기도 기념물 제1호 (1972.5.4)
묘역 유래
- 본래 개성 풍덕군에 매장되었지만 1406년 영천으로 이장 중, 수지면 풍덕천리에서 **명정(銘旌)**이 바람에 떨어진 자리에 상여가 멈춰 서서 그곳에 안장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
묘소 모습
- 얕은 능선에 위치한 원형 무덤이며, 곡장·상석·향로석·문인석·장명등 등 조선식 석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
여기 가 봤습니다.